팔(어깨/손)

소중한 이에게 내어드리는 당신의 어깨,
언제나 든든할 수 있도록
서재곤 링커병원이 함께 하겠습니다.

상지의 골절

위팔 골절

쇄골 골절

손목 골절

정의

골절이란 외부의 힘이 가해져 뼈 조직이 부러지거나 갈라진 상태를 말합니다.

원인

  • 위팔 골절, 쇄골 골절, 손목 골절은 손을 짚으면서 넘어질 때, 팔을 곧게 뻗은 채로 넘어질 때나, 교통 사고, 타박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골다공증 등으로 인해 뼈가 약해진 분에게 더 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증상

  • 골절이 발생한 부위 주변으로 통증과 압통이 발생하는데, 이 통증은 근육의 경직, 뼈 조각의 겹침, 주위 연부 조직의 손상이 원인이 되기 때문입니다.
  • 골절 부위가 붓고, 피부 바깥에 보이는 점상 출혈이 발생합니다.
  • 신경의 손상이 동반될 경우 감각 이상과 저린 느낌이 발생합니다.

진단

  • 골절이 조금이라도 의심된다면 반드시 X-ray 촬영을 시행하여 확인해야 합니다. 부위별로 방향과 각도를 달리하여 여러 장의 X-ray를 찍어서 골절 유무를 확인합니다.
  • 컴퓨터 단층촬영(CT) 검사는 골절의 양상을 더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고, 3차원 구성이 가능하여 치료 방침 설정에 도움이 됩니다.
  • 자기공명영상(MRI) 검사는 골절에 동반된 연부 조직의 손상을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골절은 제 때에 치료하지 않으면, 부러진 뼈가 제 위치에 맞지 않게 붙거나(부정유합), 또는 뼈가 붙지 않는 상태(불유합)로 고정되어 버릴 수 있습니다.

치료

  • 골절의 치료는 응급 치료, 본 치료, 재활 치료의 절차로 진행됩니다. 응급 치료는 부목 고정으로 추가적인 연부 조직 손상을 예방하고, 통증을 경감시키며, 환자의 엑스레이 검사를 용이하게 하는 목적으로 시행됩니다. 골절의 본 치료는 환자의 전신 상태가 안정된 후에 시행되며 손상 정도, 부위 및 합병증의 유무에 따라 세부적 치료 방법을 선택합니다.

비수술적 치료

  • 도수 정복: 골절이 되어 어긋나 있는 뼈를 원래대로 바로 맞추는 것을 정복이라 합니다.
  • 고정: 적절한 정복이 이루어진 후, 팔걸이를 이용한 보호 방법으로부터, 일반적으로 ‘반기브스’라 불리는 석고 부목, ‘통기브스’라 불리는 석고 붕대 고정, 보조기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

  • 골절 부위를 정복하고, 여러 가지 고정 기구( 강선, 핀, 나사, 금속판 등) 를 이용하여 골절의 고정을 이루는 수술입니다.

관련된 치료방법을 확인해 보세요!

상지의 골절에 대한 수술 / 비수술적 치료 방법입니다.

서재곤링커병원
오시는 길

서울특별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436
서재곤링커병원

진료시간 안내

평일 : AM 09:00~PM 06:00
토요일 : AM 09:00~PM 01:00
점심 : PM 01:00~PM 02:00
휴진 : 공휴일 및 일요일

온라인 상담
바로가기

언제든지 가족 같은 마음으로
정성을 다해 상담해 드리겠습니다.

진료/예약전화

언제든지 따뜻한 마음으로
안내드리겠습니다.

T. 1522-7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