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리(발/고관절)

건강한 발이 행복한 곳으로 이끌도록,
서재곤 링커병원이 함께 하겠습니다.

발바닥 통증

발바닥 통증을 이야기 할 때, 대부분 족저근막염을 떠올리시지만, 족저근막염은 발바닥 통증을 야기하는 하나의 경우일 뿐, 실제로는 발바닥 통증의 원인과 양상은 매우 다양합니다. 왜냐하면, 발은 많은 뼈, 관절, 인대가 연결되어 있는 복잡한 기관이고, 또 환자의 몸 상태나 생활 습관에 따라 다양한 양태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발바닥 통증이 있을 때는 정확한 진단을 받으시고, 그에 맞는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증상

  • 발바닥의 앞쪽이 아픕니다. (발바닥 뒤쪽이 아픈 족저근막염과는 위치가 다릅니다.)
  • 욱씬욱씬 거리는 느낌의 통증이 납니다. (찌릿 찌릿한 느낌과는 다릅니다.)
  • 발을 많이 쓴 날의 저녁에 통증이 더 큽니다.

원인

  • 대부분은 과사용에 의해 중족골 통증이 발생합니다.
  • 아킬레스 건이 짧을 경우, 발 뒤쪽이 당겨지고 발 앞쪽은 아래로 처지면서 체중이 중족골에 더 몰리게 되어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중족골 아래에 있는 지방층이 줄어서 중족골통이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치료

비수술적 치료

  • 아킬레스건 부위 보톡스 주사
  • ESWT(체외충격파)
  • insole (깔창)

수술적 치료

  • 아킬레스 유리술

증상

  • 하중이 특정 발가락에 몰리면서 그 발가락이 시작하는 부위에 굳은살이 발생하고, 굳은살에 의한 통증이 발생합니다.

원인

  • 굳은살이 있는 발가락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 발의 어떠한 다른 부분이 제 기능을 못함으로 인해 이 발가락에 하중이 더 몰리는 것일 수 있습니다.
  • 대표적인 예로, 무지외반증에 의한 두번째 발가락 밑의 굳은살 생성이 있습니다. 엄지 발가락이 외측으로 휘는 질환인데, 엄지 발가락이 제 기능을 못하면서 두번째 발가락 밑에 굳은 살이 자주 생깁니다.

치료

  • 단순히 굳은 살의 피부를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제 기능을 못하는 발 부위를 찾아 근본적인 치료를 해야 합니다.

증상

  • 발바닥 중에서 뒤쪽에 통증을 호소하시는 경우, 의사가 더 정확한 통증 부위를 촉진하다보면 발의 바닥면 보다는 발뒷꿈치 부위의 통증인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 이 부분은 아킬레스 건이 시작하는 부위이기 때문에 아킬레스건염을 먼저 의심하게 됩니다.
  • 자세한 내용은 아킬레스건염/파열을 참조 하십시오.

정의

족저근막은 발 바닥에 넓게 퍼져 있는 단단한 섬유조직으로, 다섯 개의 발가락 밑에서 시작하여 하나의 힘줄로 모인 뒤 뒤꿈치 뼈에 부착되어 있습니다. 서 있을 때나 걸을 때 발의 아치를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어떠한 이유에서든 족저근막이 손상되면 염증과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데, 가장 흔하게 통증이 발생하는 부위는 족저근막이 뒤꿈치 뼈에 부착되는 부위입니다.

원인

  • 평소 운동을 하지 않던 사람이 갑자기 장거리의 조깅을 한 경우, 바닥이 딱딱한 장소에서 발바닥에 충격을 주는 운동(농구, 배구, 에어로빅 등)을 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장시간 서 있기, 과체중, 하이힐 착용 등이 족저근막에 비정상적인 부하를 초래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해부학적으로 발바닥의 아치가 낮거나(평발), 높은 경우(요족), 다리 길이의 차이 등이 족저근막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당뇨, 관절염 환자에서 동반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증상

  • 발바닥 뒤꿈치가 아픕니다. 통증은 발바닥 안쪽 경계를 따라 가운데로 연장될 수도 있습니다.
  • 아침에 일어나 첫 발을 디딜 때 가장 큰 통증이 옵니다.
  • 활동함에 따라 수 분 경과하면 통증이 경감되지만, 많이 걸으면 통증이 더 악화될 수 있습니다.
  • 증상이 심해지면 낮 시간에도 통증이 있습니다.
  • 대부분 한 쪽 발에만 발생하나 20~30%에서는 양측성으로 발병합니다. (양측성일 경우에는 통풍, 강직성 척추염, 전신성 홍반성 낭창 등과 구분해야 합니다.)

진단

  • 환자의 통증 양상과 생활 습관을 문진합니다.
  • 환자의 발바닥에서 압통이 발생하는 부분을 진찰 합니다.(뒤꿈치 뼈 피로골절, 신경포착 등과 구별합니다.)
  • 일반 엑스레이 검사는 족저근막염으로부터 골절 등의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시행합니다. 엑스레이 상 뒤꿈치 뼈에 골극(가시처럼 돋아나는 뼈)이 확인된다면 족저근막염과의 상관성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 초음파 검사로 족저 근막의 두께가 두꺼워졌는지 측정합니다. 종골의 족저근막 주변의 염증 반응, 혈관 증식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치료

  • 족저근막염은 증세가 오래될수록 보존적 치료의 성공 가능성이 낮아지므로, 의심되는 증상이 있으면 빠른 시일 내에 정형외과에서 진단을 받고 조기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개 6개월 이상 보존적인 치료를 해야 하며 90% 이상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회복은 점차적으로 서서히 진행되므로 환자나 의사 모두 참을성이 필요한 질환입니다.

비수술적 치료

  • 발의 사용량을 최소한으로 줄이면서 휴식을 취합니다.
  • 매일 규칙적으로 발 스트레칭을 합니다.(30분)
  • 소염 진통제, 스테로이드 주사
  • 체외충격파
  • 깔창 보조기

수술적 치료

  • 족저근막을 늘려주는 수술
  • 관절경을 이용한 족저근막 절개술

서재곤링커병원
오시는 길

서울특별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436
서재곤링커병원

진료시간 안내

평일 : AM 09:00~PM 06:00
토요일 : AM 09:00~PM 01:00
점심 : PM 01:00~PM 02:00
휴진 : 공휴일 및 일요일

온라인 상담
바로가기

언제든지 가족 같은 마음으로
정성을 다해 상담해 드리겠습니다.

진료/예약전화

언제든지 따뜻한 마음으로
안내드리겠습니다.

T. 1522-7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