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팔 골절, 쇄골 골절, 손목 골절은 손을 짚으면서 넘어질 때, 팔을 곧게 뻗은 채로 넘어질 때나, 교통 사고, 타박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골다공증 등으로 인해 뼈가 약해진 분에게 더 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증상
골절이 발생한 부위 주변으로 통증과 압통이 발생하는데, 이 통증은 근육의 경직, 뼈 조각의 겹침, 주위 연부 조직의 손상이 원인이 되기 때문입니다.
골절 부위가 붓고, 피부 바깥에 보이는 점상 출혈이 발생합니다.
신경의 손상이 동반될 경우 감각 이상과 저린 느낌이 발생합니다.
진단
골절이 조금이라도 의심된다면 반드시 X-ray 촬영을 시행하여 확인해야 합니다. 부위별로 방향과 각도를 달리하여 여러 장의 X-ray를 찍어서 골절 유무를 확인합니다.
컴퓨터 단층촬영(CT) 검사는 골절의 양상을 더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고, 3차원 구성이 가능하여 치료 방침 설정에 도움이 됩니다.
자기공명영상(MRI) 검사는 골절에 동반된 연부 조직의 손상을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골절은 제 때에 치료하지 않으면, 부러진 뼈가 제 위치에 맞지 않게 붙거나(부정유합), 또는 뼈가 붙지 않는 상태(불유합)로 고정되어 버릴 수 있습니다.
치료
골절의 치료는 응급 치료, 본 치료, 재활 치료의 절차로 진행됩니다. 응급 치료는 부목 고정으로 추가적인 연부 조직 손상을 예방하고, 통증을 경감시키며, 환자의 엑스레이 검사를 용이하게 하는 목적으로 시행됩니다. 골절의 본 치료는 환자의 전신 상태가 안정된 후에 시행되며 손상 정도, 부위 및 합병증의 유무에 따라 세부적 치료 방법을 선택합니다.
비수술적 치료
도수 정복: 골절이 되어 어긋나 있는 뼈를 원래대로 바로 맞추는 것을 정복이라 합니다.
고정: 적절한 정복이 이루어진 후, 팔걸이를 이용한 보호 방법으로부터, 일반적으로 ‘반기브스’라 불리는 석고 부목, ‘통기브스’라 불리는 석고 붕대 고정, 보조기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
골절 부위를 정복하고, 여러 가지 고정 기구( 강선, 핀, 나사, 금속판 등) 를 이용하여 골절의 고정을 이루는 수술입니다.
위팔 골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