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

당신의 힘찬 걸음,
서재곤 링커병원이 함께 하겠습니다.

연골판손상
(반월상 연골판 파열/원판형 연골판)

정의

반월상연골판은 (연골과는 다른 조직으로) 종아리뼈 위쪽에 있는 반달 모양의 판형 구조물로서, 종아리뼈와 허벅지뼈 사이 관절면에서 완충 역할을 합니다. 무릎의 내측과 외측에 하나씩 자리하고 있습니다. 반월상연골판은 외부 충격에 의해 파열될 수 있으며, 약화된 연골판은 작은 움직임에도 파열될 수 있습니다.

원인

  • 운동 중 무릎을 디딘 상태에서 비틀어지는 외상에 쉽게 발생하며, 태클과 같은 직접적인 타박에 의해서 발생하기도 합니다.
  • 퇴행성으로 약화되고 얇아진 고령자의 연골판은 외상 없이도 작은 움직임에 의해서 파열될 수도 있습니다.

[다양한 형태의 반월상 연골판 파열]

증상

  • 무릎관절의 통증이 생기고, 물이 차거나 붓기도 합니다.
  • 무릎이 구부려지지 않거나 펴지지 않을때도 있습니다.
  • 계단을 내려가거나 뛰어내릴 때, 안정성을 잃고 갑자기 힘이 빠집니다.
  • 반월상 연골판 파열을 조기에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퇴행성 관절염 등 이보다 치료하기 어렵고 심한 병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진단

  • 의사가 증상과 병력을 청취하고, 관절 검사를 시행하여 반월상 연골판 파열 여부를 의심하게 됩니다. (맥머레이(McMurray) 검사, 아플레이(Apley)검사 등)
  • 엑스레이로는 반월상 연골판을 관찰할 수 없지만, 퇴행성관절염 등 다른 질환들로부터 감별하기 위해 방사선 검사를 시행합니다.
  • MRI검사는 반월상 연골판 손상을 확인하는 가장 유용한 검사로, 연골판 파열을 확진하기 위해 시행합니다. 또한 반월상 연골판 파열과 동반된 관절내 손상을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맥머레이(Mcmurray) 검사]

[아플레이(Apley) 검사]

치료

비수술적 치료

  • 급성기에는 통증과 부종을 감소시키기 위해 안정을 취하며 압박 붕대, 부목, 소염제 등을 사용하여 통증과 부종을 감소시킵니다.
  • 파열이 작을 때는, 4~6주간 반월상 연골판에 충격을 주지 않기 위해 보조기를 착용하거나 목발을 사용하기도 하고, 무릎 주위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치료를 합니다.

수술적 치료

  • 보존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 관절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를 진행합니다.
  • 반월상 연골판의 손상 부위와 정도에 따라 부분 절제술 또는 봉합술을 시행합니다.
  • 심한 손상으로 인해, 연골판이 거의 없는 환자에게는 연골판 이식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관련된 치료방법을 확인해 보세요!

연골판손상에 대한 수술 / 비수술적 치료 방법입니다.

서재곤링커병원
오시는 길

서울특별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436
서재곤링커병원

진료시간 안내

평일 : AM 09:00~PM 06:00
토요일 : AM 09:00~PM 01:00
점심 : PM 01:00~PM 02:00
휴진 : 공휴일 및 일요일

온라인 상담
바로가기

언제든지 가족 같은 마음으로
정성을 다해 상담해 드리겠습니다.

진료/예약전화

언제든지 따뜻한 마음으로
안내드리겠습니다.

T. 1522-7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