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허리/목)

당신의 허리, 당신의 마음처럼 꼿꼿하도록
서재곤 링커병원이 함께 하겠습니다.

요추관 협착증

정의

척추관이란 척추 가운데 관 모양의 속이 빈 곳으로, 뇌에서 연결된 척수가 위아래로 지나가는 통로입니다. 추간공이란 척추뼈 사이사이에 있는 공간으로 척추신경다발로터 좌우 한 쌍씩의 척추신경을 내보내는 통로입니다. 요추관 협착증은 허리 부분의 척추관 또는 추간공이 비정상적으로 좁아져 그 속을 지나는 신경들이 눌리면서 허리, 엉치 또는 하지에 통증이 발생하는 증상입니다.

정상 척추

압박 받는 척추신경다발

원인

  • 대부분의 요추관 협착증은 노화현상이 원인입니다. 나이가 들면서 척추 후관절낭의 연조직이나 황색인대가 점차 비대해 지거나, 디스크가 튀어나오거나, 가시뼈(골극)들이 자라나면서, 신경이 지나는 통로가 좁아져 신경이 눌리면서 발생합니다.
  • 선천적으로 척추관이 좁을 경우, 나이가 들면서 인대와 관절의 변성이 겹쳐서 발병할 수 있습니다.
  • 대부분의 요추관 협착증은 40대에서 시작하여 50, 60대에 점차 악화 되며 제 3-4, 제 4-5 요추 및 제 5요추-제 1천추 마디에 주로 발생하게 됩니다.

증상

  • 걷거나 서 있을 때 엉덩이의 통증이 있다가 서서히 허벅다리에서 무릎아래 발바닥으로 내려가는 저리고 당기는 통증이 나타납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자세, 활동과 상관 없이 허리, 엉치 통증 및 하지의 방사통이 생길 수 있습니다.
  • 다리에 힘이 빠지거나, 감각 이상이 느껴지고, 다리가 무거운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 특히 오래 서 있거나 걷게 되면 다리가 무거워지거나 터질 듯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 이러한 통증은 허리를 구부리거나 앞으로 숙일 때, 지팡이 등의 보조 기구를 짚을 때, 앉거나 누운 자세에서는 사라지는 특징이 있습니다.(간헐적 파행). 이와 같은 자세에서 요추관이 일시적으로 넓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진단

  • 엑스레이촬영으로 요추뼈의 퇴행성 변화와 그로 인한 석회의 침착, 또는 요추뼈 배열의 이상이 있는 경우에 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엑스레이로는 중요한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척추관, 추간공)의 상태를 확인할 수는 없습니다.
  • 자기공명촬영(MRI) 는 엑스레이에서 볼 수 없는 척추관의 상태, 추간공의 상태를 보여주며 동시에 신경이 질제 어느정도 눌리고 있는지도 보여줍니다. 현재의 영상 검사 기법 중 환자에게 특별히 약물을 주입하는 위험을 감수하지 않고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자기공명영상촬영이 거의 유일합니다.
  • 근전도 검사를 통해 병변과 환자의 증상 사이의 연관성, 그리고 신경의 실질적인 기능 이상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치료

  • 증상이 지속된 기간, 통증의 강도, 재발의 횟수, 환자의 직업, 나이, 성별, 작업의 종류와 작업량, 특히 가장 중요한 신경학적 증상의 유무 등, 여러 가지 조건을 고려하여 보존적 치료 또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합니다.

보존적 치료

  • 약물 치료: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근육이완제
  • 물리 치료: 고주파 치료, 온치료, 냉치료, 충격파치료, 허리나 목을 당겨 디스크 내압을 줄여주는 견인치료
  • 재활 치료: 도수 재활 치료, 운동 재활 치료
  • 주사치료
    • 신경차단술: 영상장치를 이용해 정확한 병변에 최대한 근접해 약물 투여하여 염증, 부종 감소 효과
    • 프롤로테라피: 초음파 영상을 보며, 인대, 관절낭, 힘줄 등에 약물 투여하여 연조직강화
    • TPI(통증 유발점 주사치료)-초음파 혹은 수기를 이용해 통증 유발점이 되는 근육속에 약물 투여하여 근이완 및 통증차단 효과

시술/수술 치료

보존적 치료법이 효과가 없는 경우, 또는 통증이 심하거나 신경손상으로 인한 마비 증상이나 감각 이상 등이 있어 일상생활이 어려운 경우 시술 또는 수술을 합니다. 신경이 압박 받는 상태를 해소하고, 추후 신경 압박이 재발하지 않도록 하는 치료가 수행됩니다. 치료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다양한 요소들이 있으므로 전문가 상의가 필요 합니다.

  • 신경성형술: 카테터라고 불리는 가느다란 1㎜ 정도의 특수한 관을 신경통로에 삽입해 척추신경과 주변의 신경압박 조직과의 유착을 제거하여 신경이 압박받는 곳에 공간을 만들고 약물을 투입하는 치료입니다.
  • 척추 유합술: 병변이 있는 마디에서 신경을 압박하고 있는 혹은 향후 압박할 수 있는 모든 부분을 제거하고 인공뼈와 인체용 나사못을 이용해 해당 마디를 안정시키면서 다시 재발하지 않도록 하는 수술 방법입니다.

관련된 치료방법을 확인해 보세요!

요추관 협착증에 대한 수술 / 비수술적 치료 방법입니다.

서재곤링커병원
오시는 길

서울특별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436
서재곤링커병원

진료시간 안내

평일 : AM 09:00~PM 06:00
토요일 : AM 09:00~PM 01:00
점심 : PM 01:00~PM 02:00
휴진 : 공휴일 및 일요일

온라인 상담
바로가기

언제든지 가족 같은 마음으로
정성을 다해 상담해 드리겠습니다.

진료/예약전화

언제든지 따뜻한 마음으로
안내드리겠습니다.

T. 1522-7113